안녕하세요 홍가 입니다.
오늘은 깃 배쉬를 사용해서 깃허브에 연동시키는 것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
업로드할 파일을 git bash로 접속을 시켜주시고
처음 git bash를 사용하신다면 깃허브랑 연동을 시켜야함으로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깃허브 아이디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깃허브 이메일
입력을 해주시고
git config user.name
git config user.email
을 입력하여 잘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을 해줍니다.
git init
로 파일에 .git을 생성시킨다. 명령어 실행시 (master)이라고 나옴
git add .
git add *
둘 다 사용이 가능 합니다 둘 다 파일을 올리는 명령어지만
둘의 차이는 .gitignore의 차이이다.
*은 gitignore에 있는것을 모두 추가 .은 명시된 것을 고려하여 추가
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
add 후 LF에 관한 에러가 나온다면
파일을 LF를 CRLF로 변경 시켜줌 무시하려고 이 명령어를 사용함.
git commit -m "내용"
커밋한 부분에 내용이 나타나게된다.
이런식으로 내가 수정했던 부분에 커밋이 올라간다.
git remote add origin "레포지토리 주소"
git remote -v
위의 명령어로 커밋을 할 레포지토리와 연결시켜주고
밑에 remote -v로 올라갈 레포지토리가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한다.
git push origin master
push를 해주면
이렇게 파일이 올라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git bash사용 git hub 잔디 안 심어짐 고치는 법 (0) | 2023.03.27 |
---|---|
깃배쉬 깃허브 잔디 오류 (0) | 2023.03.20 |
깃허브 Issues, Projects 사용해보기 (0) | 2023.03.02 |
깃허브 팀 프로젝트 Organization 사용법 (0) | 2023.02.17 |
비쥬얼스튜디오코드로 깃허브 파일생성하기 (1) | 2022.09.19 |